2024년 삼복 복날 날짜와 상세 설명
초복 (初伏): 양력 2024년 7월 15일 (월요일), 음력 2024년 6월 10일
- 갑진년 신미월 경인일 (甲辰年 辛未月 庚寅日): 하지 이후 네 번째 경일에 해당하며, 초복 이후 열흘 후에 옵니다. 이 시기는 한여름의 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때입니다.
- 말복 (末伏): 양력 2024년 8월 14일 (수요일), 음력 2024년 7월 11일
- 갑진년 임신월 경술일 (甲辰年 壬申月 庚戌日): 입추(立秋) 이후 첫 번째 경일에 해당합니다. 말복이 지나면 더위가 한풀 꺾이는 시기입니다.

삼복 복날의 정의와 계산 방법
- 삼복 (三伏): 초복, 중복, 말복의 세 날을 말하며, 대략 7월에서 8월 사이에 해당합니다.
- 경일 (庚日): 10간(十干) 중에서 ‘경(庚)’자가 들어가는 날로, 경진(庚辰), 경인(庚寅), 경자(庚子), 경술(庚戌), 경신(庚申) 등이 포함됩니다.
- 초복: 하지 후 세 번째 경일에 해당.
- 중복: 하지 후 네 번째 경일에 해당.
- 말복: 입추 후 첫 번째 경일에 해당.
삼복의 문화적 의미와 유래
삼복(三伏)은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여름철 가장 더운 시기를 나타내며, 초복, 중복, 말복으로 나뉩니다. 삼복은 음력과 양력을 모두 사용하여 계산하며, 이 시기는 보통 양력 7월에서 8월 사이에 걸쳐 있습니다.
- 초복 (初伏): 여름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로, 건강을 위해 보양식을 섭취하는 첫 번째 날입니다. 초복은 하지 이후 세 번째 경일에 해당합니다. 이 시기는 대략 양력 7월 11일에서 19일 사이에 옵니다.
- 중복 (中伏): 삼복 중 가장 더운 날로, 다양한 보양식을 통해 체력을 보충하는 시기입니다. 중복은 하지 이후 네 번째 경일에 해당하며, 대략 양력 7월 21일에서 29일 사이에 옵니다.
- 말복 (末伏): 여름 더위가 마무리되는 시기로, 마지막 보양식을 섭취하여 여름철 건강을 유지하는 날입니다. 말복은 입추 이후 첫 번째 경일에 해당하며, 대략 양력 8월 9일에서 15일 사이에 옵니다.
삼복의 문화적 의미와 유래
- 삼복 기간: 여름철 중 가장 더운 시기로, 전통적으로 다양한 보양식을 섭취하며 더위를 이기려는 풍습이 있습니다. 삼복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특히 더운 시기로, 사람들이 무더위를 견디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음식을 먹는 날들입니다.
- 초복 (初伏): 여름 더위가 시작되는 시기로, 건강을 위해 보양식을 섭취하는 첫 번째 날입니다. 하지 이후 세 번째 경일로, 이 날을 기점으로 본격적인 더위가 시작된다고 여깁니다.
- 중복 (中伏): 삼복 중 가장 더운 날로, 다양한 보양식을 통해 체력을 보충하는 시기입니다. 하지 이후 네 번째 경일에 해당하며, 이 날이 여름철 가장 더운 시기로 여겨집니다.
- 말복 (末伏): 여름 더위가 마무리되는 시기로, 마지막 보양식을 섭취하여 여름철 건강을 유지하는 날입니다. 입추 이후 첫 번째 경일에 해당하며, 말복이 지나면 더위가 한풀 꺾입니다.
전통적인 복날 음식
삼복 기간 동안 먹는 보양식은 전통적으로 몸을 따뜻하게 하여 땀을 내고, 체내 열을 방출하는 이열치열(以熱治熱) 원리에 따릅니다. 또한, 차가운 성질의 음식을 섭취하여 더위를 식히는 이열치냉(以熱治冷) 원리도 있습니다.
- 삼계탕: 대표적인 여름 보양식으로, 닭과 인삼, 찹쌀 등을 넣어 끓인 탕입니다. 닭의 단백질과 인삼의 풍부한 영양 성분이 더위로 지친 몸을 회복시켜 줍니다.
- 전복삼계탕: 삼계탕에 전복을 추가한 것으로, 전복의 고단백 저지방 성분이 추가된 더욱 영양가 높은 보양식입니다.
- 장어구이: 장어는 스태미나 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단백질과 비타민 A가 풍부하여 여름철 기력을 보충하는데 좋습니다.
- 추어탕: 미꾸라지를 넣고 끓인 탕으로, 미꾸라지의 단백질과 지방이 여름철 기력을 보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 팥죽: 팥은 한방에서 열을 내리는 데 효과가 있다고 하여, 더위를 물리치고 귀신을 쫓는 의미로 팥죽을 먹습니다.
- 옥수수: 찰옥수수나 일반 옥수수도 여름철 간식으로 인기가 있으며, 수분과 영양 보충에 좋습니다.
이열치열 (以熱治熱) / 이열치냉 (以熱治冷)
- 이열치열 (以熱治熱): 뜨거운 음식으로 땀을 내어 체내 열을 배출하고 몸을 시원하게 하는 원리입니다. 뜨거운 음식을 먹으면 체온이 올라가면서 땀이 나고, 이 땀이 증발하면서 체온이 내려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로 인해 몸이 더위를 이겨낼 수 있게 됩니다.
- 이열치냉 (以熱治冷): 차가운 성질의 음식을 섭취하여 열을 식히는 원리입니다. 더운 날씨에 찬 음식을 먹어 체온을 낮추고, 더위를 식히는 방식입니다.
서양의 Dog Days
- Dog Days: 북반구의 한여름을 가리키는 표현으로, 큰개자리 시리우스성이 태양에 근접하는 시기에서 유래합니다. 이 시기는 7월 초부터 8월 말까지로, 삼복 기간과 비슷하게 여름철 가장 더운 시기를 의미합니다.
- 시리우스 (Sirius): 큰개자리의 가장 밝은 별로, 고대 그리스인들은 시리우스가 태양과 함께 떠오르는 기간을 매우 더운 시기로 여겼습니다.
전통과 현대의 복날 문화
- 전통적으로 복날에는 가족과 함께 보양식을 먹으며 건강을 챙기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현대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삼계탕, 장어구이 등 보양식을 먹으며 이 전통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다양한 건강식과 더불어, 현대에는 에어컨 등 냉방기기를 통해 더위를 피하는 방법도 추가되었습니다.
보양식의 역사와 의미
- .
- 보신탕의 대체 음식: 현대에는 보신탕 대신 삼계탕, 해신탕, 한방 오리백숙, 능이백숙, 옻닭 등 다양한 보양식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 이열치열과 보양식: 전통적으로 복날에는 이열치열 원리에 따라 뜨거운 음식을 먹으며, 더위를 이기고 건강을 유지하는 풍습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이는 현대에도 그대로 이어져, 복날에는 삼계탕이나 전복삼계탕 등의 뜨거운 보양식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