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삼복더위 초복 중복 말복 이열치열

2024년의 삼복 복날 날짜는 다음과 같습니다:

  • 초복: 2024년 7월 15일 (월요일) – 음력 2024년 6월 10일
  • 중복: 2024년 7월 25일 (목요일) – 음력 2024년 6월 20일
  • 말복: 2024년 8월 14일 (수요일) – 음력 2024년 7월 11일

삼복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결정됩니다:

  1. 초복: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庚日)
  2. 중복: 초복 이후 네 번째 경일
  3. 말복: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

경일은 10간의 ‘경(庚)’이 들어가는 일진 날짜를 말합니다. 이 때문에 삼복은 음력과 양력을 모두 고려하여 계산됩니다. 삼복 기간은 여름철 중 가장 더운 때로, 초복에서 말복까지 약 20일이 걸리지만, 해에 따라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이 될 수도 있습니다.

초복(初伏)

초복은 삼복 중 첫 번째 복날로, 여름의 시작을 알리는 시기입니다. 하지(夏至) 이후 세 번째 경일(庚日)이 초복이며, 대략 7월 11일부터 7월 19일 사이에 옵니다. 이 시기는 소서(小暑)와 대서(大暑) 사이에 위치하여 더위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때입니다.

중복(中伏)

중복은 하지 이후 네 번째 경일(庚日)입니다. 초복에서 약 10일 후에 오는 경우가 많지만, 해에 따라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로 길어질 때도 있으며, 이를 월복(越伏)이라고 합니다.

말복(末伏)

말복은 삼복 중 마지막 복날로, 입추(立秋) 이후 첫 번째 경일(庚日)입니다. 말복은 여름의 끝을 알리는 시기로, 삼복 기간의 마지막 더위를 의미합니다.

복날의 보양식

복날에는 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다양한 보양식을 먹는 전통이 있습니다. 기원전 676년,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처음으로 복날을 정하고 개를 잡아 열독(熱毒)을 다스렸다고 전해집니다. 하지만 현대에는 개고기 대신 삼계탕, 해신탕, 한방 오리백숙, 능이백숙, 옻닭, 장어구이, 육개장, 민어, 추어탕, 설렁탕, 용봉탕, 전복죽, 흑염소 등 다양한 보양식을 먹습니다. 특히 삼계탕은 가장 대표적인 복날 음식으로, 이열치열(以熱治熱)이라는 원리에 따라 더위를 이겨내는 음식으로 여겨집니다. 팥죽도 먹는데, 이는 귀신을 물리치고 더위를 쫓는 의미가 있습니다.

삼복 더위의 지혜: 이열치열(以熱治熱)과 이열치냉(以熱治冷)

여름철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해 우리 조상들이 사용한 방법에는 ‘이열치열’과 ‘이열치냉’이 있습니다. 이 두 가지 방법은 각각 다른 원리로 더위를 다스리며, 더위를 이기는 지혜가 담겨 있습니다.

이열치열 (以熱治熱)

이열치열은 “열은 열로써 다스린다”는 의미입니다. 여름철 뜨거운 음식을 먹어 몸의 열을 땀으로 배출하고, 그 과정에서 체온을 낮추는 원리입니다.

  • 의미: 열을 열로 다스린다.
  • 원리: 뜨거운 음식을 섭취하면 땀이 나고, 이 땀이 증발하면서 몸의 열을 식히는 효과가 있습니다.
  • 효과: 여름철 건강을 유지하고 더위를 이겨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복날에 먹는 삼계탕은 대표적인 이열치열 음식입니다. 삼계탕을 먹고 나면 땀이 나고, 그 땀으로 인해 몸이 시원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는 여름철 건강을 지키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이열치냉 (以熱治冷)

이열치냉은 “열을 차가움으로 다스린다”는 의미입니다. 더운 여름에 차가운 음식을 섭취하여 몸의 열을 식히는 방법입니다.

  • 의미: 열을 차가움으로 다스린다.
  • 원리: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몸의 열을 직접적으로 식히게 됩니다.
  • 효과: 더위를 식히고 시원함을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어, 여름철에 즐겨 먹는 팥빙수나 냉면은 대표적인 이열치냉 음식입니다. 차가운 음식을 먹으면 즉각적으로 몸이 시원해지고, 더위를 식히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이열치열 vs. 이열치냉

  • 이열치열: 뜨거운 음식을 먹어 땀을 흘리고 몸의 열을 방출함으로써 시원해집니다.
  • 이열치냉: 차가운 음식을 먹어 몸의 열을 직접적으로 식히며 시원함을 느낍니다.

유사 표현: 이한이찬 (以寒治寒)

이한이찬은 “추위는 추위로써 다스린다”는 의미로, 추운 겨울에 차가운 음식을 먹어 몸의 온도를 맞추는 방식입니다.

  • 의미: 추위를 추위로 다스린다.
  • 원리: 겨울에 차가운 음식을 섭취하여 몸이 외부 온도에 적응하도록 도와줍니다.
  • 효과: 체내 온도가 외부 온도와 비슷해져 추위를 덜 느끼게 됩니다.

복날 보양식의 예

복날에는 다양한 보양식을 통해 이열치열의 지혜를 실천합니다. 삼계탕, 해신탕, 한방 오리백숙 등 뜨거운 보양식을 먹어 여름철 건강을 유지합니다. 이와 함께 차가운 음식인 팥빙수나 냉면을 통해 이열치냉을 실천하기도 합니다.

여름철 무더위가 찾아오면, 이열치열과 이열치냉의 지혜를 통해 건강하게 더위를 이겨내 보세요! 뜨거운 음식으로 땀을 내고, 차가운 음식으로 즉각적인 시원함을 느끼는 방법 모두 여름을 나기 위한 훌륭한 지혜입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