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원 차단

청소 전에 반드시 공기청정기의 전원을 끄고 전원 코드를 뽑습니다.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 단계입니다.
2. 외부 청소
- 부드러운 천에 물을 적셔 외부를 닦아줍니다.
-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에 쌓인 먼지를 제거합니다. 흡입구와 배출구는 공기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합니다.
- 세제를 사용할 경우, 중성 세제를 소량 사용하고 물로 잘 헹군 후 닦아냅니다.
3. 필터 청소
프리 필터
- 프리 필터를 꺼냅니다. 프리 필터는 가장 앞쪽에 위치하여 큰 먼지와 머리카락 등을 걸러줍니다.
- 필터의 먼지를 털어냅니다. 진공 청소기를 사용해 먼지를 제거하면 더 효과적입니다.
- 물로 세척 가능한 필터인 경우, 흐르는 물에 세척하고 완전히 건조시킨 후 다시 장착합니다.
HEPA 필터

- HEPA 필터를 꺼냅니다. HEPA 필터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역할을 합니다.
- 대부분의 HEPA 필터는 세척이 불가능하며,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교체 주기는 제조사 지침을 따릅니다.
- 만약 세척 가능한 HEPA 필터라면, 물로 세척 후 완전히 건조시킨 후 다시 장착합니다.
카본 필터
- 카본 필터를 꺼냅니다. 카본 필터는 냄새와 가스를 제거하는 역할을 합니다.
- 대부분의 카본 필터는 세척이 불가능하며,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합니다. 교체 주기는 제조사 지침을 따릅니다.
4. 센서 청소
- 공기청정기 내부의 센서를 청소합니다. 센서가 먼지로 덮이면 공기 질을 정확히 측정하지 못하게 됩니다.
- 부드러운 붓이나 면봉을 사용해 센서에 쌓인 먼지를 조심스럽게 제거합니다.
5. 재조립

- 모든 부품이 완전히 건조된 것을 확인한 후, 필터와 부품을 다시 장착합니다.
- 필터를 정확히 위치에 맞게 넣어야 공기청정기가 제대로 작동합니다.
6. 전원 연결
- 공기청정기의 전원을 다시 연결하고 전원을 켭니다.
- 공기청정기가 정상 작동하는지 확인합니다.
정기적인 관리
- 청소 주기: 프리 필터는 2주에서 1달 간격으로 청소합니다. HEPA 필터와 카본 필터는 제조사 권장 주기에 따라 교체합니다.
- 필터 교체 주기: HEPA 필터는 일반적으로 6개월에서 1년마다 교체합니다. 카본 필터는 사용 빈도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6개월에서 1년마다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추가 팁
- 예비 필터 구비: 필터 교체 주기에 맞춰 예비 필터를 미리 준비해 두면 편리합니다.
- 청소 알림 기능: 일부 공기청정기는 청소 알림 기능이 있으므로 이를 활용하면 보다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기적으로 청소하고 관리하면 공기청정기의 성능을 오래 유지할 수 있습니다.